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공부하는 블로그

AWS 서비스 간단 정리 본문

카테고리 없음

AWS 서비스 간단 정리

동성만능크리너 2024. 10. 1. 20:33

AWS를 사용하면서 사용하게 될 기능들 강의를 들으면서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들

 

1.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root계정을 만들 때 쓰지만, 나중에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root 계정을 공유하기보다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 그룹, 역할을 생성하고, 이들에게 특정 리소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WS 계정 내에서 누가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2.Elastic Cloud Compute(EC2)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서비스. 필요할 때 서버를 생성하고 원하는 만큼 확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CPU, 메모리, 스토리지,OS, 네트워크 설정 등을 직접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의 인스턴스를 배포할 수 있으며,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유연하게 서버 자원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Elastic Load Balancer(ELB)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EC2 인스턴스나 다른 AWS 리소스에 자동으로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높이고, 특정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트래픽을 고르게 분배할 수 있다. ELB는 여러가지 유형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싱(HTTP/HTTPS 트래픽), 네트워크 로드 밸런싱(TCP/UDP 트래픽), 그리고 글로벌 트래픽 분산을 위한 ALB, NLB 등이 있다.

 

4.Relational Database Service(RDS)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MySQL,PostgreSQL, MariaDB, Oracle, Microsoft SQL Server, Aurora 같은 여러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운영,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백업, 복원, 소프트웨어 패치, 자동화된 스케일링, 보안 관리 등 많은 운영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해주기 때문에 개발자와 관리자들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다. 

 

5.Route53

DNS 웹서비스, 단순한 DNS 역할 외에도 도메인 등록, 트래픽 관리, 헬스 체크, 글로벌 로드 밸런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